[청소년기자단] 10대도 당한 ‘허위 합성물’ 범죄…SNS발 ‘피해 학교 리스트’ 탓 혼란 가중

[앵커]

최근 텔레그램 등지에서 지인의 사진과 음란물을 합성해 유포하는, 이른바 ‘겹지인방’의 존재가 드러나면서 충격을 줬습니다.

피해자와 가해자 양쪽에 10대 청소년들도 많이 있다 보니까 시청자 여러분도 다들 불안하셨겠죠.

SNS발 ‘피해 학교 리스트’ 때문에 교실 분위기도 물론 끔찍했습니다.

첫 소식, 조승종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적 허위 합성물이 텔레그램 채널에서 퍼지고 있다는 글이 SNS를 중심으로 퍼진 지 얼마 안 돼서, 옛 트위터인 X에 이른바 ‘피해 학교 리스트’가 등장했습니다.

여러 청소년들의 분노를 산 사안이었던 만큼 인스타그램과 틱톡 등 다른 플랫폼에서도 이 게시물이 빠르게 퍼졌습니다.

수많은 학교의 이름이 나열돼 있어 피해 규모에 대한 불안감을 가중시켰습니다.

가해자의 신상이라면서 남학생들의 나이와 소속 학교, 사진이 나돌기도 했습니다.

[ 고등학생 “정말 광범위하게 가해자들이 많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학교 안에도 가해자가 있을 거라는 생각에 두려웠던 감정이 컸던 것 같습니다.” ]

문제는 이런 게시물들이 정확히 확인된 정보가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당시에는 정부도 폐쇄적인 텔레그램 환경 탓에 가해자를 특정하지 못하고 있었던 상황이라 신빙성은 더 떨어집니다.

[ 배동인 / 교육부 정책기획관 (지난달 28일) “수사의 영역에서도 경찰이 서버에 대한 압수수색이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어려운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가해자를 특정해서 수사하기는 좀 어려운 상황이라는 말씀을 드리고요…” ]

부풀려진 피해 규모로 불안을 키우고 억울한 사람이 ‘마녀사냥’에 내몰릴 위험이 계속된 겁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진 내용에는 잘못된 정보나 추측이 포함됐을 수 있어 정보를 공유하는 입장과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모두 경계해야 합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 측도 이런 정보의 확산을 신속히 막을 필요가 있습니다.

취재진은 ‘피해 학교 리스트’ 게시물을 올린 사람에게 리스트를 만든 계기 등을 질문하려 했지만, 해당 계정이 삭제돼 연락할 수 없었습니다.


조승종 청소년기자 @ynp.or.kr

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 청소년기자단과 함께 만드는 ‘청소년 뉴스 LIVE’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