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 센터장, 과거 성추행·공무집행방해 ‘논란’…여성단체 “해임·해명해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

방송법에 따라, 시청자의 권익 증진과 방송 참여를 위해 세워진 방송통신위원회 시청자미디어재단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뉴스 제작 경진대회와 미디어 페스티벌 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업도 10년째 이어오고 있습니다.

최근, 이곳 미디어센터장으로 이종국 전 한국방송 기자가 취임했습니다.

그런데 이 센터장의 과거 행적이 논란이 됐습니다.

기자로 재직하던 지난 2015년, 주점에서 여성을 성추행하고 출동한 경찰을 폭행하는 등 소동을 피우다, 테이저건을 맞고서야 제압된 사건이 센터장 취임 이후에 재조명됐습니다.

이 사건으로 이종국 당시 기자는 성추행과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가, 피해자와 합의해 처벌은 받지 않은 걸로 알려졌습니다.

지역 여성단체 연합은 규탄 성명을 냈습니다.

부적절한 채용이고, 센터장을 신뢰할 수 없다며 직을 내려놓을 것을 촉구한 겁니다.

[ 전한빛 / 대전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시민의 권익 증진을 목표로 하는 공공기관의 장이라는 것은 공무원만큼의 책임을 가지고 임해야 하는 자리라고 생각해요. 이런 만행을 저지른 자가 공공기관의 장으로서 대표하는 자리에 있다는 것은 부적절한 처사가 아닌가…” ]

이종국 센터장은 YNP와의 통화에서, 2015년 당시 사건에 대해 “참회하고 반성하는 마음으로 살아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거취를 묻는 질문에는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센터장을 채용한 시청자미디어재단의 한 관계자는 채용 당시 검증 여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법률상 범죄경력을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금의 논란과 관련해서는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결격사유가 드러나면 후속 조치가 있을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청소년을 포함한 시민과 시청자를 만나야 하는 지역 공공기관의 장이, 성 비위를 비롯한 ‘과거 논란’에 휩싸인 상황.

시청자로부터 받고 있는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시청자미디어재단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YNP 안주현입니다.


안주현 기자 snack@yn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