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새 정부 국정과제 중 교육 분야를 보면 디지털, AI, 소프트웨어 같은 단어들이 눈에 띕니다.
지난 한 달 동안 윤석열 대통령도 ‘교육개혁’을 얘기하는 한편, ‘과학’ 역시 강조했는데요.
교육개혁의 해법이 ‘기승전 AI’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 윤석열 / 대통령 (지난 10일 취임식)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 2022년 5월 10일 대통령 윤석열.” ]
지난 10일 취임식을 갖고 닻을 올린 윤석열 정부.
윤석열 대통령은 개혁이 시급한 분야 중 하나로 교육을 꼽았습니다.
[ 윤석열 / 대통령 (지난 16일 국회 시정연설) “연금개혁, 노동개혁, 교육개혁은 지금 추진되지 않으면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게 되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습니다.” ]
이달 초 인수위가 발표한 정부 국정과제에서도 ‘학습 혁명’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내년 고1부터 적용 예정인 ‘고교학점제’의 내용을 손보고 대입제도를 개편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다양한 학교 유형을 마련’하겠다는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는데, 후보 시절 윤 대통령이 특목고・자사고 폐지 반대 입장을 밝힌 만큼 이들 학교를 그대로 유지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식에서 ‘과학’을 다섯 번 언급하며, 과학기술을 통한 성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윤석열 / 대통령 “빠른 성장 과정에서 많은 국민이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고, 사회 이동성을 제고함으로써 양극화와 근원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교육정책에도 이같은 기조가 반영될 전망입니다.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초・중등 소프트웨어・AI 교육을 필수화하고 관련 영재학교와 마이스터고를 늘리겠다는 내용이 국정과제에 포함됐습니다.
반면 교육계 일부에서는 걱정어린 반응도 나옵니다.
전교조는 “소프트웨어・AI 만능주의적 시각으로 교육문제에 접근할까 우려”한다며 “기승전AI가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면 원격수업 당시 아이들 학력 수준은 최대가 됐어야 했다”고 꼬집었습니다.
‘교육개혁’을 외치고 과학을 강조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고, 교육부 장관마저 공석인 상황.
새 정부 교육정책이 어떤 흐름을 보일지는 아직은 지켜봐야 할 대목입니다.
뉴스 라이브 박민입니다.
박민 기자 @newsliv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