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 기본계획…문항 출제∙이의심사 개선한다

[앵커]

지난해 생명과학II 출제 오류, 기억하시나요?

소송을 거친 끝에 출제 오류가 인정되고 평가원장이 사퇴하기까지 했죠.

올해 수능은 문항 출제와 이의심사 제도를 개선해서 시행하겠다고 평가원이 계획을 밝혔습니다.

홍무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는 11월 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출제와 이의심사 제도에 변화가 생기는데, 지난해 생명과학II 출제오류 논란에 따른 후속조치라는 평가입니다.

수능 문항 출제는 1차본 제출과 검토, 2차본 제출과 검토, 그리고 최종 검토를 거치는데, 이때 고난도 문항의 경우, 새로 생기는 ‘고난도 문항 검토단’이 문항을 한번 더 검토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검토 자문위원도 기존 8명에서 12명으로 늘리고, 출제기간도 기존보다 이틀 늘립니다.

이의심사 기간도 늘어납니다.

이의심사 실무위원회가 신설돼 전원이 합의한 경우 이의심사위원회가 최종 심의, 의견이 갈리는 경우, 해당 과목 2차 실무위가 개최됩니다.

외부 위원도 전반적으로 확대합니다.

[ 이규민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최종 심의기구인 이의심사위원회의 위원장은 외부 인사로 하며, 이의심사위원회의 외부위원 비중을 확대하겠습니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수능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올해 수능도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치러지고, EBS 연계율 또한 50%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또, 초고난도 문항의 출제는 지양하겠다며 적정 난이도를 유지하려 노력하겠다는 게 평가원 방침입니다.

평가원은 이같은 계획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홈페이지와 책자를 통해 안내자료를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스 라이브 홍무성입니다.


홍무성 기자 @newsliv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