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는 가운데, 개학을 앞두고 교육부는 새 학기 학사운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상 등교를 원칙으로 두고 ‘새학기 적응주간’을 지정한 후 기준에 상관없이 감염 우려가 있을 시 유동적인 학사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마디로 전면등교 여부를 학교가 알아서 판단해서 정하도록 하는 겁니다.
이한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교육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맞춘 새학기 학사운영 방안을 밝혔습니다.
일단 정부의 원칙은 정상등교입니다.
하지만, 단기간에 확진자나 격리자가 급증하는 경우에 대비해 전면등교 가능 여부는 학교가 판단해 정하도록 합니다.
전국 단위의 일괄 결정 대신, 학교나 지역별 현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라는 게 취지입니다.
대략적인 기준도 나왔습니다.
[ 유은혜 / 사회부총리 (지난 7일) “학내 재학생의 신규 확진 비율이 3%이거나 학내 재학생의 등교중지 비율이 15%인 상황인 학교는… 학교에 맞는 탄력적인 대응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교육부는 모레부터 다음주 금요일까지를 ‘새학기 적응주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동안은 기준에 상관없이 감염 우려가 있는 경우 단축수업이나 원격수업 등으로 전환해 학사를 운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교육청 단위의 ‘현장 이동형 신속 PCR 검사소’ 도입 방침도 밝혔습니다.
기존 선별진료소가 고위험군과 유증상자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교직원의 확진 여부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검사소를 마련한다는 겁니다.
[ 류혜숙 / 교육부 학생지원국장 “질병청의 역량 이외에 우리 교육부가 전문의료기관과 위탁으로 해서 추가적인 역량을 저희가 확보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당국은 학교 확진자가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위중증 비율이 델타보다 낮으니 학교는 당황하지 말고 대응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뉴스 라이브 이한결입니다.
이한결 기자 @newslive.or.kr
(영상편집 이준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