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그런데도 교육당국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육청은 정기적으로 교사 연수와 학교현장 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했지만 역부족이었고,
셀프기재가 일어난 학교에 대한 조치도 최근 2년 동안 한 번도 없었습니다.
한수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당국도 생기부 셀프기재 실태에 대해 제대로 모르고 있거나 최소한 조치하지 않고 있는 걸로 밝혀졌습니다.
취재진이 대전지역 각각 다른 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스무 명에게 최근 두 학년도 사이 생기부 참고자료 작성 경험이 있는지 묻자, 85퍼센트인 17명이 그런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중 몇몇 학교는 참고자료를 받았고, 이를 그대로 생기부에 기재하는 이른바 셀프기재를 했다고 인정했습니다.
[ C고등학교 교사 “마지막 마무리하는 시간에 그렇게 한 부분도 있고. 전체적인 건 아니고 그렇게 하는 과목도 있고 아닌 과목도 있는 거고. ]
하지만 관할 교육청인 대전시교육청은 지난 2년 동안 정기감사나 기타 조사에서 생기부 셀프기재 사례를 적발하거나 조치한 적이 없는 걸로 드러났습니다.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의심이 있더라도 학교 측에서 ‘셀프기재가 아니’라고 하면 더 이상 ‘셀프기재’라고 판단할 수 없어진다”고 취재진에 밝혔습니다.
취재진이 셀프기재를 확인한 방법은 실제 참고자료와 이후 작성된 생기부를 대조한 건데, 교육당국 조사 때는 생기부와 대조할 ‘참고자료’가 없기 때문에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사실상 구조적 문제인 겁니다.
교육청은 공정한 생활기록부 작성을 위해 해마다 두 번 이상의 교사 연수와 학교현장 점검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여운관 장학사 / 대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학생부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17개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에서 현장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현장점검, 그 다음에 선생님들, 교원 대상 연수, 각종 자료 보급 등…” ]
교육부도 생기부 종합 지원포털을 통해 관련 상담과 부정행위를 신고받는 등 생기부 신뢰도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교와 학생들로부터 생기부 부정 문제가 드러났고 주무기관인 교육청은 이 문제에 손조차 쓰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뉴스 라이브 한수민입니다.
한수민 기자 @newslive.or.kr